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쏙쏙

올바르다 옳바르다 올바른 맞춤법 표현 알아보기

by 칼퇴요정 2025. 2. 16.
반응형

(제목에서부터 벌써 스포를 해버린 것 같네요! ㅎㅎ 애니웨이,,,) 일상에서 글을 쓰거나 대화를 하다 보면 ‘올바르다’와 ‘옳바르다’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특히, ‘옳다’와 ‘바르다’라는 단어가 익숙하다 보니 두 단어를 합쳐 ‘옳바르다’라고 쓰는 경우가 있는데요. 어떤 표현이 맞는 표현인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올바르다’

✅ ‘올바르다’의 뜻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올바르다’는 표준어로 인정된 단어이며,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집니다.

 

📌 올바르다

정신적으로 바르고 사리에 맞다.

행동이나 태도가 바르고 정확하다.

 

📌 예시

✔ 그는 올바른 판단을 내렸다.

✔ 우리는 올바른 행동과 가치관을 가져야 한다.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방법이 필요하다.

 

즉, ‘올바르다’는 생각이나 행동이 도덕적·윤리적으로 바르고 정확하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2. ‘옳바르다’

❌ ‘옳바르다’라는 단어는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

많은 사람이 ‘옳바르다’라는 표현이 맞다고 착각하는 이유는 ‘옳다’와 ‘바르다’라는 단어가 합쳐진 말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옳바르다’는 국립국어원의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실제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옳바르다’를 검색하면 ‘올바르다’를 사용하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 결론: ‘올바르다’만 표준어로 인정되며, ‘옳바르다’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입니다.


3. ‘올바르다’와 ‘옳다’의 차이점

‘올바르다’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로 ‘옳다’가 있습니다. 아마도 ‘옳다’라는 표현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옳바르다’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 같은데요, ‘옳다/올바르다’ 이 두 단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 의미와 용법이 다릅니다. 예시와 함께 알아볼게요!

 

단어 예문
올바르다 바르고 사리에 맞다. ✔ 올바른 태도를 가져야 한다.
✔ 올바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옳다 사리에 맞고 이치에 어긋나지 않다. ✔ 그의 주장은 옳다.
✔ 네 말이 옳다.

 

📌 차이점 정리

  • ‘옳다’는 어떤 판단이 맞거나 정당하다는 의미
  • ‘올바르다’는 정신적·도덕적으로 바르고 정확하다는 의미

 

✅ 예문 비교

✔ 올바른 행동을 해야 한다. → 행동이 도덕적으로 바르고 정확해야 한다는 의미

✔ 네 말이 옳다. → 말의 내용이 논리적으로 맞다는 의미

 

따라서 ‘옳바르다’라는 단어를 사용할 필요 없이, 상황에 따라 ‘올바르다’ 또는 ‘옳다’를 구분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4. ‘올바르다’를 더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법

‘올바르다’는 실생활에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어떤 문장에서 ‘올바르다’가 적절한지 살펴볼까요?

 

✔ 올바른 가치관을 가져야 한다.

✔ 올바른 의사 결정을 해야 한다.

✔ 올바른 선택이 좋은 결과를 만든다.

✔ 학생들은 올바른 학습 태도를 가져야 한다.

✔ 문제를 해결하려면 올바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이처럼 ‘올바르다’는 윤리적·도덕적으로 바른 상태, 혹은 사리에 맞는 태도를 설명할 때 적절한 표현입니다.


[Summary]

✔ ‘올바르다’는 표준어이며, ‘옳바르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 ‘올바르다’는 도덕적·윤리적으로 바른 상태를 뜻하고, ‘옳다’는 논리적으로 맞다는 의미입니다.

✔ ‘옳바르다’라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올바르다’와 ‘옳다’를 정확히 구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제 ‘옳바르다’라는 잘못된 표현 대신, ‘올바르다’를 올바르게 사용해 보세요! 앞으로도 헷갈리는 맞춤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 소개해 드릴게요!

반응형